프로젝트

중고거래 플랫폼 통합검색 프로젝트(2)

코 밑 2025. 5. 22. 20:18
Contents

먼저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기로 정했으니 프로젝트부터 만들어주겠다.

spring.start.io

 

위 url을 통해 손쉽게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젝트 빌드 관리 도구, 언어, 자바를 선택했다면 자바 버전, 스프링 부트 버전, 의존성 패키지를 정해줄 수 있다.

본인의 프로젝트에 맞게 잘 선택해주자

의존성은 프로젝트를 생성한 후에도 수정할 수 있어서 넘어가도 좋다.

https://spring.io/projects/spring-boot#support

본인은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생성에 필요한 최소 자바 버전인 자바 17을 사용하고

스프링 부트 버전은 작년 말에 배포한 3.4.5 버전을 선택했다.

의존성은 프로젝트에서 자주 쓰는 의존성을 중심으로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다.

 

다 선택했으면 압축 파일을 다운받고 풀어서 like a... 인텔리제이같은 IDE로 열어준다.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의 구조

 

다음으로 MVC 패턴대로 controller, repository, service, model 패키지를 만들어준다

프로젝트도 생성했으니 간단하게 HomeController와 home.html를 만들어본다.

package com.no.nono9.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Controller
public class HomeController {
    @GetMapping("/")
    public String home() {
        return "home";
    }
}

HomeController

<!DOCTYPE HTML>
<html xmlns:th="http://www.thymeleaf.org" lang="ko">
<body>

<div class="container">
    <div>
        <h1>Hello Spring</h1> <p>회원 기능</p>
        <p>
            <a>hi hello~</a>
        </p>
    </div>
</div>

</body>
</html>

home.html

 

이렇게 하면 서버를 실행하고 http://localhost:8080에 접속하면 위의 home.html이 나와줘야한다.

아레...?

의존성에 thymeleaf를 추가하지 않았더니 에러가 나온다

추가해주자

dependencies {
	...
	// 타입리프 의존성 추가
	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nz.net.ultraq.thymeleaf:thymeleaf-layout-dialect'
}

build.gradle에 위 두줄을 추가해주고 인텔리제이 기준 우상단 코끼리 버튼을 눌러주자

 

따란~

잘 나와주는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