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1

[프로그래머스] 옹알이 (2) (JAVA)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3499 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programmers.co.kr 문제를 보면 아가가 할 수 있는 옹알이는 정해져있다그리고 연속된 같은 옹알이는 불가능하지만 옹알이 다음 다른 옹알이는 가능하다예를 들어보겠다가능한 옹알이ayaayaye 불가능한 옹알이ayaayaayayaayaye 문자열에 아이가 말한 옹알이중 가능한 옹알이의 개수만 반환하면 된다.// 옹알이2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babbling) { i..

프로그래머스 2024.06.25

[자료구조] 맵

맵에 대해 알아보겠다. 저번에 포스팅한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자료형을 담을 때 주로 사용한다. 하지만, 맵은 특징이 있다. 키(key)와 값(value)을 한 쌍으로 구분하는 자료형이다. 키(key) 값(value) people 사람 baseball 야구 키엔 영어, 값엔 뜻을 넣어보았다. 리스트나 배열처럼 순차적으로 값을 구하지 않는다. 키를 이용해 값을 얻는다. 만약 야구라는 값을 구하고 싶다면 키인 baseball을 이용해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맵 자료형에는 HashMap, LinkedHashMap, TreeMap 등이 있다. 그중 HashMap에 대해 설명해보겠다. HashMap 선언 import java.util.HashMap; public class P1 { public static void ..

자료구조 2024.04.04

[자료구조] 리스트

요즘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를 많이 풀고 있다. 코테를 풀면서 많이 쓰는 것 중 하나가 배열인데 배열을 사용하기 불편한 경우! 난 주로 어레이리스트를 선언해 사용한다. 오늘은 이 리스트에 대해 알아보자 리스트란 리스트(List)는 배열과 비슷하지만 리스트에 비해 편리하고 기능이 더 많은 자료형이다. 배열은 크기를 정하면 바꿀 수 없지만 리스트는 그딴 거 없다. 넣는대로 들어간다. https://commit.tistory.com/20 [프로그래머스] 명예의 전당 (1) (JAVA)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8477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자료구조 2024.03.30

[프로그래머스] 명예의 전당 (1) (JAVA)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8477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이것도 문제가 너무너무 길다. 근데 막 어렵진 않았다. 그냥 명예의 전당이 있는데 상위 티어 k명만 올라갈 수 있다. 그리고 발표 점수는 명예의 전당 중 가장 낮은 점수가 된다.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 명예의 전당(1) public int[] solution(int k, int[] score) { int[] answer = new int[score..

프로그래머스 2024.03.30

[프로그래머스] 카드 뭉치 (JAVA)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59994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일단 문제 길이가 너무너무 길다. 읽다가 이해하는 데 시간 다 간다 그냥 아무튼 문제를 요약하자면 cards1과 cards2의 문자열들로 goal에 있는대로 나와야한다. 단, 밑장빼기는 안된다. 2번 케이스를 보면 cards1[] = ["i", "water", "drink"] cards2[] = ["want", "to"] 로 "drink"가 "water" 뒤에 있다 이러면 "i want to d..

프로그래머스 2024.03.30

[자바] 오버라이딩, 오버로딩

자바를 비롯해 객체지향 언어를 배우다 보면 자주 보게 되는 오버라이딩과 오버로딩 이들은 객체지향 언어의 특징이라기보다는 언어의 기능 중 하나이다. 이 두 기능은 앞 포스팅에서 설명했던 OOP의 다형성(polymorphism)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름이 비슷해서 자주 헷갈린다. 그리고 면접에서 단골 질문이다. 이번 기회에 똑똑히 알아두고 가자. https://commit.tistory.com/15 [자바] 객체지향언어(OOP) 안뇽하세요 코밑이에염! 먼저 옛날에 강사님께 들었던 간략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C → C++ → Win32API → MFC → C# (MS) C++에서 파생 → JAVA 객체지향언어란 객체를 만들고 객체를 사용하는 프로 commit.tistory.com 오버라이딩(Overrid..

자바 2024.03.28

[프로그래머스] JadenCase 문자열 만들기 (JAVA)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51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먼저 제이든케이스에 대해 알아보자 제이든케이스란 단어의 앞글자만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법이다 즉 보기처럼 "3people unFollowed me" 를 제이든케이스로 표기하게 된다면 "3peple Unfollowed Me" 가 되게 된다 그럼 조건을 추가해보겠다 문장의 첫번째 글자는 무조건 대문자 바로 전 글자가 공백이라면 대문자 위 조건을 제외하고는 모두 소문자 이 조건대로라면 제이든케이스로 표기..

프로그래머스 2024.03.27

[프로그래머스] 두 개 뽑아서 더하기 (JAVA)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8644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간단한 문제다 주어진 배열에 있는 숫자들을 두개씩 골라 더해서 나올 수 있는 모든 경우를 반환하라고 한다. 단 중복 제외, 오름차순 정렬해서 코드부터 보시죵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 두개 뽑아서 더하기 public int[] solution(int[] numbers) { Set set = new HashSet(); // set에다가 더한 수 넣기 중복..

프로그래머스 2024.03.27

[자바] 객체지향언어(OOP)

안뇽하세요 코밑이에염! 먼저 옛날에 강사님께 들었던 간략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C → C++ → Win32API → MFC → C# (MS) C++에서 파생 → JAVA 객체지향언어란 객체를 만들고 객체를 사용하는 프로그래밍의 방법 객체지향 언어의 종류에는 C++, C#, 파이썬, JAVA 등이 있죵 C는 절차지향언어 절차를 밟는 과정을 겪는 언어죠 객체지향언어(OOP)의 특징 추상화(abstraction) : 추상적인 것 → 구체적인 것으로 구체화하는 것(설계) 캡슐화(encapsulation) : 데이터를 보호, 은닉,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쓸 수 있다(절차지향언어는 너무 오픈돼있음) 상속(inheritance) : 코드의 확산, 코드의 재사용성 up(빚을 상속받는다면? 무조건 상속이 좋지만은 않음..

자바 2024.03.24

[자료구조] 스택과 큐

안녕하세요 코밑이에염! 다시 기여운 모루카쟝과 함께 돌아왔습니다! 오늘 알아볼 것은 스택과 큐에요! 자료구조를 공부하고 있는 여러분도 한번씩은 들어봤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당 그림으로 먼저 보시죠! 먼저 스택입니다! 스택은 원통 안에 차곡차곡 쌓아올린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워요! 먼저 들어가면 가장 나중에 나온답니다! 이것을 LIFO(Last In First Out), 후입선출 방식이라고 해요 값을 스택에 넣을때는 push 뺄 때는 pop이라고 한답니다 최근에 프로그래머스의 같은 숫자는 싫어를 스택을 이용해서 풀었지요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06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

자료구조 2024.03.24